*[[:w:it:Wikipedia:Problemi con utenti o amministratori]] - 갈등의 확대에 대한 설명
*[[:w:it:Aiuto:FAQ]] and [[:w:it:Aiuto:FAQ/Comunità]] - 이 페이지에는 다른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에 대한 섹션이 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it:Progetto:Patrolling/Manuale esteso1]] - In점검 the도움말 help페이지에는 pages갈등 for처리에 patrolling대한 there작은 is섹션이 a small section about the handling of conflicts</span>있습니다.
;보고 페이지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Reporting pages</span>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it:Wikipedia:Richieste di pareri/Comportamenti degli utenti]] - Request모든 for사용자 comments그룹의 about잠재적인 possible문제적 problematic행동에 behaviours대한 of의견을 any요청하므로 user관리자도 group, so admins too</span>마찬가지입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it:Wikipedia:Utenti problematici]] - RFC등록된 for사용자의 problematic문제적 behaviours행동에 of대한 registered users</span>RFC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it:Wikipedia:Utenti problematici/Segnalazioni di gruppo]] - Same위와 as동일하지만 above조정된 but방식으로 for행동하는 groups사용자 of그룹의 users who act in a coordinated way</span>경우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it:Wikipedia:Vandalismi in corso]] - Vandalism익명에 and대한 rfc파괴 about행위와 anons</span>RFC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it:Wikipedia:Segnalazione NUI]] - Reporting부적절한 of사용자 inappropriate이름 usernames</span>신고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it:Wikipedia:Richieste agli amministratori]] - Admin관리자 noticeboard</span>게시판
<span id="Facilitation_process"></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Facilitation원활한 process진행 과정 ==
</div>
협의가 시작되었을 때 VP에 대한 발표 외에도 이탈리아어 위키백과에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협의를 위한 전담 페이지 세트]]가 생성되었습니다. 협의 목표와 참여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있는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일반 페이지]],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Consultazioni|일반적인 토론 페이지]], 메타의 [[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FAQ|FAQ 페이지]]에서 부분적으로 수정되었지만 프로세스에 대한 보다 일반적인 설명이 있는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FAQ|FAQ 페이지]]가 생성되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When the consultation started in addition to the announcement on the VP, a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dedicated set of pages for the consultation]] was created on the Italian Wikipedia, a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general page]] with a description of the goals of the consultation and how to engage; a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Consultazioni|general discussion page]], and a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FAQ|FAQ page]], that was partly adapted from [[Special:MyLanguage/Universal Code of Conduct/FAQ|Meta’s FAQ page]] but also with a more general description of the process.
</div>
새로운 사용자나 기존 가이드라인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대화에 참여시키기 위해,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Gioco|매우 기본적인 게임화]]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해결책이나 제안을 상상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만들었습니다. 활성 사용자는 이메일, 개인 및 그룹 통화를 통해 연락을 받았습니다. 2월 9일부터 16일까지 설문 조사도 사이트 공지에 링크되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In order to involve in the conversations also new users or users who are not so familiar with the existing guidelines, a very [[:it:w:Wikipedia:Codice universale di condotta/Gioco|elementary gamification]] was used creating some scenarios where users could try to imagine solutions or suggestions. Active users were contacted via email, personal, and group calls. From 9 to 16 February a survey was also linked in the sitenotice.
</div>
69명의 사용자가 위키 내외부에서 다양한 대화를 통해 참여하였고, 1911명의 사용자가 설문 조사를 통해 참여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69 users participated in the engagement through diverse on and off wiki conversations and 1911 users engaged by participating in the survey.
</div>
모든 지역 및 자매 프로젝트의 부사장은 협의 시작 시에 공지를 게시했습니다. 그 후 일주일 후에 사용자에게 몇 가지 쉬운 질문에 답하고 설문 조사에 참여하도록 요청하는 또 다른 게시물이 게시되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In every VP of regional and sister projects, an announcement was published at the beginning of the consultation. This was followed up by another post a week later to invite users to answer some easy questions and to invite them to take part in the survey.
</div>
이벤트 주최자 그룹(itwikicon과 에디터톤)에도 연락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 group of event organisers (itwikicon and editathon) was also contacted.
</div>
이탈리아어 위키백과의 LGBT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여성 사용자와 참여자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연락을 취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ctive female users and participants in the LGBT project on the Italian Wikipedia were contacted via email.
</div>
<span id="Response_rate"></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Response rate응답률 ===
</div>
공개 페이지에서의 반응은 좋지 않았습니다. 익명 설문 조사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반응은 일대일 접촉에서 나왔습니다. 게임화는 일부 새로운 사용자나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를 참여시킬 수 있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response on public pages was poor. Apart from the anonymous survey, the highest responses came from one to one contacts. Gamification was able to involve some new users or less experienced users.
</div>
지역 프로젝트와 자매 프로젝트에서는 응답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 중 하나에서는 사용자가 과거를 깊이 파헤쳐서 해당 행동에 대한 마지막 사건을 찾고 그것이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기억해야 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re were very few responses from regional projects and sister projects, in one of them, users had to dig deep into the past to find the last incident about behaviour and to recollect how it was handled.
</div>
<span id="Main_questions_in_the_consultation"></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협의의 주요 질문 ==
== Main questions in the consultation ==
</div>
<span id="Reporting_of_inappropriate_behaviour"></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부적절한 행동 신고 ===
=== Reporting of inappropriate behaviour ===
</div>
설문 조사에 응답한 사람의 24.8%가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어떤 형태의 부적절한 행동의 희생자이거나 목격자였다고 밝혔습니다. 보고하는 데 어떤 어려움이 있었는지 물었을 때,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언급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가시성: 응답자들은 신고할 페이지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일부 응답자는 신고 경로의 존재를 몰랐습니다.
24,8% of respondents of the survey stated that they have been either victim or witness of some form of inappropriate behaviour in Wikimedia projects. When asked which difficulties they had faced in reporting, they raised the following ones:
*익명성: 일부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나 관리자의 보복을 두려워했습니다. 일부 응답자는 신고를 처리하는 사람들의 공정성을 신뢰하지 않습니다.
</div>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Visibility: Respondents reported difficulties in finding the pages where to report, some respondents did not know the existence of reporting pathways.</span>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Anonymity: Some users feared retaliation from other users or from admins. Some respondents do not trust the impartiality of people dealing with reports.</span>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보고를 더 쉽게 또는 더 눈에 띄게 하기 위해 제안한 것 중에는 다음이 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Among the suggestions given by community members for making reporting easier or more visible:</span>
*모든 페이지에 "보고서" 링크가 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A “report” link on every page,</span>
*사이드바 메뉴의 도구 영역에서 보고를 위한 링크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A link for reporting in the tools area in the sidebar menu,</span>
*환영 메시지나 등록 중 팝업에서 보고 경로를 설명합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explain reporting pathways in the welcome message, or in a pop-up during registration</span>
*누군가가 쉽게 보고 찾을 수 있는 곳에 "커다란 빨간 버튼"을 두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somebody suggested putting a “big red button” somewhere where it is easy to see and find.</span>
주요 질문 중 하나는 '''심각한 괴롭힘이나 위협 신고'''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위협/심각한 괴롭힘 신고 절차는 커뮤니티 내에서 잘 알려져야 한다는 데는 일반적으로 동의합니다. 현재 1838명의 응답자 중 50.7%만이 이런 종류의 사건을 어떻게 어디에서 신고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관리자 측에서는 일부 LE 기관과 직접 연락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아마도 속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의견이 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One of the focus questions was about '''reporting serious harassment or threats'''. There is general agreement that reporting procedures for threats/serious harassment should be well known within the community. Currently only 50,7% out of 1838 respondents said that they know how and where to report these sorts of incidents. On the admins side, there is a general feeling that direct contact with some LE agency would be more efficient and possibly speed things up.
</div>
'''비공개 보고 도구에 대한 의견'''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67.8%는 기존 페이지와 함께 비공개 보고 도구가 유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o the question about '''opinions about a private reporting tool''', 67,8% of respondents think that along with the existing pages, a private tool for reporting could be useful:
</div>
{| class="wikitable sortable collapsi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 none;"
!비공개 보고 도구가 유용할까요?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ould a private reporting tool be useful?</span>
|-
|{{Graph:Chart|width=100|height=100|type=pie|legend=Legend범례
|x=Yes 예(67.8%),No 아니오(8.2%),I don't know 모르겠습니다(24%)|y=1247,151,441|showValues=}}
|}
부적절한 행동을 보고하기 위한 '''간편한 개인 도구'''에 관한 질문에 응답자(1758)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To the question about an '''easy private tool''' to report inappropriate behaviour, respondents (1758) answered in this way:</span>
{| class="wikitable sortable collapsi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 none;"
!어떤 도구가 유용하다고 생각하시나요?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hat tool would you consider useful?</span>
|-
|{{Graph:Chart|width=100|height=100|type=pie|legend=Legend범례
|x=A전용 dedicated email address이메일 주소(54.1%),Use of wikimail위키메일 사용(28.6%),A serviceOTRS와 similar to OTRS유사한 서비스(12.2%), Other 기타(5.1%)|y=951,502,214,91|showValues=}}
|}
"기타" 옵션의 제안 중에는 보고를 위해 채팅과 인스턴트 메시징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응답자는 투명성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에 비공개 보고 도구에 대한 우려도 표명했습니다. 일부 응답자는 보고서에 대한 확인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들은 보고자에게 "누군가"가 보고서를 처리하고 있다는 것을 안심시키기 위해 어떤 형태의 확인이 중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mong the suggestions in the “other” option, there are ideas about having chats and instant messaging tools available for reporting. But, some worries about a private reporting tool were also expressed because it goes against the transparency principle. Some respondents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an acknowledgment on reports. They pointed out that some form of acknowledgment is important to reassure the reporting person that “somebody” is taking care of the report.
</div>
'''개인 도구와 투명성 및 책임성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에 대한 질문에는 티켓팅 시스템과 함께 프로젝트 내에서 익명으로 '미해결 사례'의 수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When asked about how to '''balance a private tool with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suggestions were towards a ticketing system together with some way to keep track within the project of the number of “open cases” in an anonymized way.
</div>
또 다른 질문은 '''개인정보 보호와 지속적인 학대자 추적의 필요성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방법'''과 교차 위키 문제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이 질문의 대상은 관리자 그룹이었습니다. 제안은 LTA 및 기타 교차 위키 문제에 대한 정보를 보관하고 공유할 수 있는 교차 위키 제한 구역에 대한 것입니다. 통신 도구 및 관리자 메일링 목록에 대한 댓글에서 메일맨 보안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nother question was about ways to '''balance privacy with the need to track persistent abusers''' and cross-wiki problems. The target for this question was the admin group. Suggestions are in the direction of some cross-wiki restricted areas where info about LTAs and other cross-wiki issues could be kept and shared. Some concerns about mailman security were raised in the comments about communication tools and sysop mailing lists.
</div>
<span id="Incidents_happening_outside_of_the_projects"></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프로젝트 외부에서 발생하는 사건 ===
=== Incidents happening outside of the projects ===
</div>
1,818명의 응답자 중 16.4%가 프로젝트 외부(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어떤 형태의 부적절한 행동의 피해자이거나 목격한 적이 있지만, 프로젝트 내의 활동과는 관련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16,4% out of 1818 respondents declared that they have been either victim or witness of some form of inappropriate behaviour outside of the projects (on or offline) but linked with the activity within the projects.
</div>
이러한 위반 사항을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고려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1741명)의 절반 이상(52.6%)이 이러한 행동을 프로젝트 내에서 어떤 식으로든 고려해야 한다고 동의했고, 43.3%는 소셜 미디어나 외부 기관에서 자체 도구를 사용하여 신고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34.5%는 T&S에서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When asked if these violations should be considered within Wikimedia projects and how to deal with them, slightly more than half (52,6%) of the respondents to this question (1741) agree that these behaviours should be in some way taken into account within the projects, 43,3% think they should be reported within the social media or external organization using their tools and 34,5% think it is a matter for T&S.
</div>
소수의 사용자는 프로젝트 외부에서 일어나는 일은 고려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설문조사에서 이 질문이 최상의 방식으로 표현되지 않았고 객관식 옵션이 올바른 선택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 특정 문제에 대한 결과가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 minority of users think that things happening outside of the projects should not be considered. I have to admit that in the survey this question was not worded in the best way and the multiple-choice option was not the correct choice so the results on this specific issue are not completely satisfactory.
</div>
일대일 상담 중에도 동일한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소셜 미디어나 개인 웹사이트에서 심각한 괴롭힘과 개인 정보 유출 사례가 발생했으며, 이러한 사건의 경우 T&S에 보고하고 어떤 형태로든 법적 지원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same issue was raised during one to one consultations, there have been cases of serious harassment and doxxing on social media or personal websites, for these incidents reporting to T&S and some sort of legal support are considered very important.
</div>
외부 공간에 대한 또 다른 문제는 "wiki*edia"라는 이름을 포함하고 공식 그룹이라는 생각을 전달하는 비공식 그룹이 다양한 플랫폼에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그룹은 커뮤니티에서 선택한 사람들이 관리하거나 조정하지 않으며 종종 무례한 답변이나 다른 부적절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형태로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이 있습니다. 제안 중 하나는 UCoC에 따라 정의된 범위와 규칙을 가진 IRC chans와 같은 "공식 공간"을 갖는 것이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nother issue about external spaces is the existence on different platforms of informal groups containing the name "wiki*edia" and thus conveying the idea that they are official groups. These groups are not managed or moderated by people chosen from the community and often there are unacceptable behaviours in the form of rude answers or other ways of inappropriate communications. One of the suggestions was to have some "official spaces", like the IRC chans, with a defined scope and rules based on UCoC.
</div>
<span id="Dealing_with_reports"></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Dealing보고서 with reports처리 ===
</div>
설문조사의 질문은 '''누가 신고를 처리하고, 보고된 사건을 처리해야 하는가?'''였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question in the survey was '''who should take care of the reports and deal with the reported incidents?'''
</div>
{| class="wikitable sortable collapsi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 none;"
!누가 신고 및 사건을 처리해야 합니까?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ho should deal with reports and incidents?</span>
|-
|{{Graph:Chart|width=100|height=100|type=pie|legend=Legend범례
|x=A프로젝트 dedicated내 body within the project전담 기관(26.4%),Admins 관리자(25.7%),A global body글로벌 기관(20.3%),A dedicated전담 group of volunteers자원봉사자 그룹(similarOTRS to운영과 OTRS ops유사) (19.6%),Stewards 관리자(2.5%),Other 기타(5.5%)|y=473,462,364,351,44,102|showValues=}}
|}
기타 섹션의 제안 사항 중에는 다음도 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Among the suggestions in the “Other” section, there are also</span>
*전담 및 혼합된 관리자 및 사용자 그룹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a dedicated and mixed group of admins and users</span>
*지역 사용자와 글로벌 사용자가 혼합된 그룹.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a mixed group of local and global users.</span>
널리 공유된 제안은 사건의 심각성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응답자(로컬 및 글로벌)를 만드는 것입니다. 일부 응답자는 보고서에 응답하는 사람은 누구나 프로젝트에 대한 경험이 있어야 하며 보고된 사건의 심각성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 broadly shared suggestion is to create different levels of respondents (local and global) depending on the seriousness of the incident. Some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anybody responding to reports should have experience in the projects and the ability to evaluate the seriousness of reported incidents.
</div>
일부 사용자는 공정성, 반응 속도, 신고에 응답하는 사람의 기술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ome users expressed worries about impartiality, the reaction time, and the skills of the persons responding to reports.
</div>
일대일 협의 중 일부 사용자는 프로젝트 내에서 괴롭힘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표현했습니다. 삭제, 샌드박스로 이동, 되돌리기 등의 일반적인 유지 관리 방식이 괴롭힘의 한 형태로 오해받아 보고되어 처리해야 할 보고 건수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During one to one consultations some users expressed the need for a clear definition of harassment to be shared within the project, fears are that normal forms of maintenance (like deletions, moves to sandbox, reverts) could be misinterpreted as forms of harassment and be reported increasing the number of reports to deal with.
</div>
또 다른 질문은 '''신고 수 증가'''를 처리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신고를 더 쉽고 눈에 띄게 하면 신고 수뿐만 아니라 트롤이나 악의적 행위자의 남용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많은 수의 신고와 도구 남용(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오류나 콘텐츠 관련 문제를 신고하는 데 사용하는 사용자 포함)을 처리하기 위한 제안된 솔루션은 신고 도구 내에 선택 목록이 있는 전용 메뉴에서 우선순위 수준이 다른 일종의 필터링 시스템으로 전환되어 "심각한" 신고가 사라지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프로젝트 내에서 에스컬레이션 경로를 잘 설명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nother question was about possible ways to deal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ports'''. Making reporting easier and more visible will probably increase not only the number of reports but possibly the abuses by trolls or bad actors. The suggested solutions for dealing with high numbers but also with abuse of the tool (including users who do not understand how to use it or use it to report errors or content-related issues) go from dedicated menus with a list of choices within the reporting tool to some sort of filtering system with different levels of priority making sure that “serious” reports do not get lost. It was also stressed that escalation pathways should be well explained within the project.
</div>
<span id="Support_for_targets_for_harassment"></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Support괴롭힘 for대상에 targets대한 for harassment지원 ===
</div>
취약 계층과 관련된 들어오는 신고는 한 사람이 아닌 그룹에서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제안입니다. 심각한 사례를 처리하는 동일한 그룹은 특정 기술을 갖추고 법률 전문가나 심리학자와 같은 전문가의 지원을 받아야 합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General suggestions are that incoming reports involving vulnerable people should be checked by a group and not a single person. The same group that takes care of serious cases should have specific skills and be backed up by specialists like legal experts or psychologists.
</div>
<span id="Specific_feedback_about_a_global_body"></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Specific글로벌 feedback기관에 about대한 a구체적인 global body피드백 ===
</div>
분쟁 해결과 UCoC 관련 문제를 다루는 일종의 글로벌 기구가 설립된다고 가정할 때, 응답자들은 (동의하지 않는) 정도를 표현할 수 있는 몇 가지 문장이 있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ssuming the establishment of some sort of global body that should deal with dispute resolution and UCoC linked issues there were some sentences respondents could express their level of (dis)agreement upon.
</div>
{| class="wikitable sortable collapsi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order: none;"
!이 "글로벌 기구"를 만드는 결정은 글로벌 커뮤니티에서 내려야 합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The decision to create this "global body" should be taken by the global community</span>
|-
||1=Do동의하지 not agree않음, 5=Agree동의함
|-
|{{Graph:Chart|width=400|height=150|xAxisTitle=Level동의의 of agreement수준|yAxisTitle=N.|type=rect|x=1,2,3,4,5|y=120,117,341,492,726|showValues=}}
|-
!범위와 개입 영역은 매우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합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Scope and area of intervention should be defined very clearly</span>
|-
|{{Graph:Chart|width=400|height=150|xAxisTitle=Level동의의 of agreement수준|yAxisTitle=N.|type=rect|x=1,2,3,4,5|y=33,18,91,270,1381|showValues=}}
|-
!글로벌 기구는 언어 장벽 없이 협의되어야 합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The global body should be consulted without linguistic barriers</span>
|-
|{{Graph:Chart|width=400|height=150|xAxisTitle=Level동의의 of agreement수준|yAxisTitle=N.|type=rect|x=1,2,3,4,5|y=45,30,109,197,1402|showValues=}}
|-
!글로벌 기구는 모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관리해야 합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The global body should take care of all Wikimedia projects</span>
|-
|{{Graph:Chart|width=400|height=150|xAxisTitle=Level동의의 of agreement수준|yAxisTitle=N.|type=rect|x=1,2,3,4,5|y=89,79,294,381,934|showValues=}}
|-
!글로벌 기구는 자체 지침/절차가 없는 소규모 프로젝트만 처리해야 합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The global body should take care only of small projects which don't have own guidelines/procedures</span>
|-
|{{Graph:Chart|width=400|height=150|xAxisTitle=Level동의의 of agreement수준|yAxisTitle=N.|type=rect|x=1,2,3,4,5|y=671,422,376,121,161|showValues=}}
|-
!더 큰 커뮤니티는 이 글로벌 기구의 "관할권"에서 벗어날 수 있어야 합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Larger communities should be allowed to opt-out from the "jurisdiction" of this global body</span>
|-
|{{Graph:Chart|width=400|height=150|xAxisTitle=Level동의의 of agreement수준|yAxisTitle=N.|type=rect|x=1,2,3,4,5|y=605,276,367,210,305|showValues=}}
|}
'''이 기관에 대한 제안을 위한 공간'''에서 결과를 요약하면서, 응답자들은 다음과 같은 의견을 표명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Summarizing the results in the '''space left for suggestions about this body''', respondents expressed comments about:</span>
*'''범위''': 일부 응답자는 프로젝트에 글로벌 기관의 통제나 감독을 받는 유사한 지역 기관이 있는 경우나 지역 절차에 대한 주기적 감사가 계획된 경우에만 프로젝트가 옵트아웃하는 것을 고려할 것입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scope''': Some respondents would consider the choice for projects to opt-out only if the project has a similar local body that is in some way controlled or supervised by the global body or if a periodical audit of local procedures is planned.</span>
*'''구성''': 회원 구성에 대한 다양한 제안, 일반 사용자, 전 세계의 사람들, WMF 직원을 포함하는 것에 대한 표시. 일부 사람들은 글로벌 기구의 회원 자격과 프로젝트 내의 다른 역할의 호환성(다른 역할에서 작업하는 것과의 가능한 COI)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했습니다. 회원들이 복잡한 사례를 처리하는 동안 전문가로부터 어떤 형태의 교육 및/또는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가 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composition''': Different suggestions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member, indications are about including normal users,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and staff from WMF. Some persons expressed doubts about compatibility (possible COI with working in different roles) of the membership in the global body and other roles within the projects. There is general agreement on the fact that members should have some form of training and/or support from experts while dealing with complicated cases.</span>
*'''방법''': 일부 응답자는 이 기관이 공정한 심리를 보장하고 분쟁 당사자 양측의 의견을 경청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기록했습니다("[[:w:Audi alteram partem]]").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method''': Some respondents wrote that it is essential that this body grants fair hearings and listens to both parties in disputes (''[[:w:Audi alteram partem]]'').</span>
*'''위험''': 일부 응답자는 갈등에 대한 정보 조작이나 개인적 개입과 관련된 위험을 지적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risks''': Some respondents pointed out risks connected with possible COI or personal involvement in the conflict.</span>
*'''예방 활동''': 상당수의 응답자는 이 글로벌 기구의 업무 중 하나가 행동 위반의 "예방"이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인식 제고를 위한 활동을 조직하고, 소규모 커뮤니티가 UCoC에 대한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를 평가하도록 지원하고, 일반적으로 UCoC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프로젝트 및 커뮤니티를 위한 일종의 컨설팅 기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prevention activities''': A significant number of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one of the tasks of this global body should be the “prevention” of conduct violations. This can be done organizing activities to raise awareness, support smaller communities in assessing compliance with their guidelines to UCoC, and generally acting as some form of consulting body for projects and communities in matters related to UCoC.</span>
글로벌 기관에 대한 가장 큰 우려는 문화적 차이를 다루고, 언어적 미묘한 차이를 이해하고, 문화 간 문제를 해결하고, 소수자를 실제로 돌볼 수 있는 유사한 기관의 능력에 대한 것입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main concern about a global body is about the ability of a similar institution to deal with cultural differences, understand language nuances, deal with cross-cultural issues, and be really able to take care of minorities.
</div>
<span id="Assessing_and_measuring"></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Assessing평가 and및 measuring측정 ===
</div>
LLC의 목표 중 하나는 또한 커뮤니티가 구성원을 괴롭힘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얼마나 성공적인지 평가하고 측정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에 대한 제안을 수집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은 "게임"의 마지막 질문이었고 참가자들의 제안은 세 가지 유형의 조치로 이어졌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One of the goals of the LLC was also to collect suggestions about possible ways to assess and measure how successful a community is in protecting its members from harassment. This was the final question in the “game” and the suggestions of the participants go towards three types of measures:
</div>
;정량적 측정: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Quantitative measures:</span>
*행동상의 이유로 인한 차단 수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Number of blocks for behavioural reasons</span>
*행동 문제에 대한 보고 수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Number of reports about behaviour issues</span>
;비율: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Ratios:</span>
*관리자 수/활성 사용자 수 또는 관리자 수/페이지 또는 문서 수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Number of admins/Number of active users or Number of admins/Number of pages or articles</span>
*"해결됨" 보고서 수와 보고서 수 비교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number of "solved" reports compared with the number of reports</span>
*프로젝트 차원(활성 사용자 또는 문서 수)에 비해 보고서 수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Number of reports compared with the dimension of the project (number of active users or articles)</span>
*비율(관리자+되돌리기 사용자)/전체 활성 사용자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Ratio (admin+rollbackers)/total active users</span>
;정성적 측정: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Qualitative measures:</span>
*보고 페이지의 존재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Existence of reporting pages</span>
*다양한 문제에 대한 보고 경로를 설명하는 페이지가 존재합니다.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Existence of pages explaining the reporting pathways for the different issues</span>
*보고서를 처리하는 관리자/전담 사용자 그룹의 존재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Existence of admins/dedicated usergroups dealing with reports</span>
*나쁜 단어 및 유사한 단어를 찾는 도구(필터 및 유사한 도구)가 존재함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Existence of tools to find bad words and similar (filters and similar tools)</span>
*정기(연간) 조사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Periodical (yearly) survey</span>
*도움말 페이지와 가이드라인의 품질을 평가하는 몇 가지 방법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Some ways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help pages and guidelines</span>
*오프라인 이벤트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Specific guidelines for offline events</span>
일대일 대화 중에 지역 언어로 주기적 조사를 실시하자는 제안이 가장 흔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During one to one conversations the proposal to have a periodical survey in local language was the most common.
</div>
<span id="Feedback_from_sister_and_regional_projects"></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자매 및 지역 프로젝트의 피드백 ==
== Feedback from sister and regional projects ==
</div>
자매 프로젝트의 사용자는 종종 이탈리아어 위키백과 사용자이기도 하며 따라서 보고 도구와 위키미디어 환경 방식에 익숙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체 환경을 잘 알지 못하고 때로는 약간 "지역적"이 되는 경향이 있는 전담 사용자가 있는 지역 프로젝트에서는 덜 빈번합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Users in sister projects are frequently also users of the Italian Wikipedia and are thus familiar with reporting tools and the ways of the Wikimedia environment. This is less frequent in regional projects that tend to have dedicated users who usually are not really aware of the whole environment and have sometimes the tendency to get a little “territorial”.
</div>
자매 및 지역 프로젝트 중에서 관리자를 위한 공지 게시판이 있는 곳은 일부에 불과합니다. [[Small Wiki Monitoring Team|SWMT]]가 이를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문서 훼손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Among sister and regional projects, only some have a notice board for administrators. Sometimes users are not even aware of vandalism because [[Small Wiki Monitoring Team|SWMT]] is dealing with that.
</div>
한편으로는 행동 위반 사례가 정말 드뭅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행동 문제로 위키백과에서 차단된 사용자가 더 작은 프로젝트에 기여하기 시작하여 이러한 문제를 다룰 준비가 되지 않은 프로젝트에 행동을 가져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On one side, the incidents of conduct violations are really rare. B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users who were blocked from Wikipedia for behavioural issues start to contribute to smaller projects thereby bringing their behaviour into projects which are not ready to deal with these issues.
</div>
일부에서는 외부 기관을 만들 경우 독립성이나 자율성이 상실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적대적 인수에 대한 두려움을 표명하기도 했습니다. 한 관리자의 말에 따르면 "저는 나쁜 행위자들의 적대적 인수에 대한 악몽을 꿉니다"라고 합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ome concerns were expressed about the loss of independence or autonomy in case of the creation of some external body. Yet, on the other side, some have also expressed fears about a hostile takeover. In the words of one admin - ''”I have nightmares about a hostile takeover by bad actors”''.
</div>
<span id="Bonus_track_-_Event_organization"></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Bonus"보너스 track''트랙" - Event이벤트 organization조직 ==
</div>
itwikicon과 같은 대규모 이벤트를 조직하거나 정기적으로 편집 마라톤 및 이와 유사한 이벤트를 조직하는 사용자와 이벤트 중에 UCoC를 적용하고 시행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에 대한 대화도 이루어졌습니다. [[Friendly space policies|FSP]]가 항상 언급되지만 아무도 실제 비상 계획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다는 데 모두 동의했습니다. 제안 사항은 조직 단계에서 호스팅 기관과 대화하는 데 시간을 할애하여 참가자에게 규칙에 대해 알리고 이벤트가 시작되기 전에 규칙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위키미디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이 모든 것이 생소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UCoC 관련 문제에 대해 연락할 수 있는 잘 알려진 사람이 항상 있어야 합니다. 이벤트가 대중에게 공개되는 경우 어느 정도의 관용과 상식이 필요합니다. 컨퍼런스나 프레젠테이션의 경우 혼자가 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다른 위키백과인을 참여시키는 것도 좋은 생각일 수 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Conversations were held also with users who organized large events like itwikicon or regularly organize editathons and similar events about possible ways to apply and enforce UCoC during events. Everybody agreed that while [[Friendly space policies|FSP]] is always mentioned, nobody ever thought about a real contingency plan. Suggestions are to spend some time talking with the hosting institution during the organization phase, to inform participants about rules and give them the time to understand them before the beginning of the event. For non wikimedians, this may all sound unfamiliar. There should always be a well recognizable person to contact for UCoC related issues. If events are open to the public, some tolerance and common sense are needed. In case of conferences or presentations, trying to not be alone and to involve fellow wikipedians could also be a good idea.
</div>
참가자가 많은 위키콘이나 이와 유사한 이벤트의 경우 FSP/UCoC를 담당하는 잘 알려진 그룹이 있어야 하며(참가자 비율은 1/20이면 타당한 것으로 간주됨) 모든 컨퍼런스 공간에 참석해야 합니다. 팀은 경계와 행동 방법을 알아야 하며, 노란색/빨간색 카드가 있는 시스템이 제안되었습니다. 아마도 이전에 지역 LE 기관과 접촉한 것이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In case of wikicons or similar events with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there should be a well recognizable group of persons responsible for FSP/UCoC (a ratio of 1/20 participants is considered reasonable) and presence in every conference space should be granted. The team should know the boundaries, how to act, a system with yellow/red cards was suggested. Perhaps some previous contact with local LE agencies could make sense.
</div>
때때로 UCoC 위반은 스트레스가 많은 조직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토론 전에 몇 가지 기본 규칙을 설정하고 상기시키거나 촉진자를 두는 것도 좋은 생각일 수 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Sometimes UCoC violations could happen during the stressful organizational phase. Setting and reminding some basic rules before every discussion or having a facilitator could be a good idea too.
</div>
<span id="Statistical_data_about_participants"></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참가자에 대한 통계 자료 ==
== Statistical data about participants ==
</div>
<span id="Survey"></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Survey설문 조사 ===
</div>
총 응답자: 1911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모든 질문은 선택 사항입니다.
Total respondents: 1911
All questions were optional.
</div>
{| class="wikitable sortable collapsible"
!colspan=2|누가 응답했나요?
!colspan=2|<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Who did respond?</span>
|-
|
'''1. 당신은 어떻게 자신을 식별합니까?''' (총 응답자 1818명)<br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1. How do you identify?''' (total responses 1818)</span><br />
{{Graph:Chart|width=100|height=100|type=pie|legend=Legend범례|x=Male 남성(70.1%),Female 여성(19.5%),Prefer not to say말하지 않음(8.7%),Other 기타(1.8%)|y=1274,354,158,32|showValues=}}
|
'''2. 얼마나 오랫동안 프로젝트에 참여했나요?''' (총 응답자 1702명)<br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2. How long have you been active in the projects?''' (total responses 1702)</span><br />
{{Graph:Chart|width=100|height=100|type=pie|legend=Legend범례
|x=< one year 1년(27.5%), 1-5 years 5년(21.5%), 5-10 years 10년(20.8%), > 10 years 10년(30.2%)|y=468,366,354,514|showValues=}}
|-
|
'''3.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계신가요?''' (총 응답자 1491명)<br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3. On which projects are you active?''' (total responses 1491)</span><br />
{{Graph:Chart|width=500|height=200|xAxisTitle=Project프로젝트|yAxisTitle=Responses응답
|type=rect|x=Wikipedia위키백과,Other projects기타 프로젝트, Regional지역 projects프로젝트, Commons공용, Wikidata위키데이터|y=1398,291,107,199,158|showValues=}}
|
'''4. 어떤 방식으로 (역할)에 참여하십니까?''' (총 응답자 1797명)<br />
<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4. In which way (role) do you participate?''' (total responses 1797)</span><br />
{{Graph:Chart|width=100|height=100|type=pie|legend=Legend범례
|x=Non registered user미등록 사용자(37.5%), Registered user등록 사용자(31.8%), Admin 관리자(1.7%), Other기타 user groups사용자 그룹('crats사무관 CU steward사무장) (1.3%), I am not active활동하지 않음(27.7%)|y=673,571,31,24,498|showValues=}}
|}
<span id="Conclusions"></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Conclusions결론 ==
</div>
이탈리아 커뮤니티는 오래전에 평화로운 편집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고 결정했고, 따라서 지역 가이드라인은 아마도 이미 UCoC보다 더 엄격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커뮤니티에서 WMF에 대한 나쁜 감정은 없었고 UCoC나 협의 과정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도 없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Italian community decided a long time ago that a peaceful editing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and thus, local guidelines are probably already more strict than the UCoC. In general there are no bad feelings from the community towards WMF and there were no negative reactions towards UCoC or during the consultation process.
</div>
협의에서 여성이라고 선언한 24명의 활동적인 사용자와 LGBT 프로젝트 참여자 중 일부가 연락을 받았는데, 아무도 성별이나 프로젝트 참여로 인해 괴롭힘을 당하거나 부적절한 대우를 받지 않았습니다. 일부 주제(분류 또는 용어)와 관련된 "맨스플레인"이나 일반적인 어려움에 대한 사소한 의견이 있었지만 개인적인 내용은 없었습니다. 한 명의 사용자만이 프로젝트 전체를 성차별적이고 남성 중심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In the consultation 24 active users who declare to be female and some participants in the LGBT project were contacted, none of them experienced harassment or was treated in an inappropriate way due to their gender or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There were some minor comments about episodes of ''mansplaining'' or general difficulties related to some subjects (categorization or terminology) but nothing personal. Only one user described the whole project as sexist and male-dominated.
</div>
사고를 보고하는 페이지와 비상 절차는 사용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고, 새로운 사용자에게는 이 페이지를 찾기가 쉽지 않으며, 전반적으로 프로젝트 내에서 소통하는 방법은 때때로 복잡하고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 베테랑 사용자와 관리자는 초보자처럼 프로젝트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어떤 어려움을 겪을지 다시 생각해보고, 일을 더 순조롭고 쉽고 친근하게 만들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The pages to report incidents and the emergency procedures are not so well known among users, for new users these pages are not easy to find and overall the ways to communicate within the projects are sometimes complicated and not easy to understand. Veteran users and admins should really try to think again like a beginner, about how they approach the projects, the difficulties they may encounter and find ways to make things smoother, easier and more friendly.
</div>
{{Universal Code of Conduct/Navbox}}
[[Category:Universal Code of Conduct/2021 consultations{{#translation:}}|Italian]]
[[Category:Italian Wikipedia{{#translation:}}]]
|